Moon
Go To The Moon
2022:(일본) 12월 11일 07:38 (UTC) 발사.
==> 2023년 4월 25일 16:40 (UTC) 달 층돌. 아이스페이스의 첫번째 달 착륙선. 2022년에 보냈던 첫번째 착륙선은 4.5개월 항행후 달 착륙 직전 추락.
2024.01.09: (미국) 페레그린, 아스트로보틱스, CLPS, 발사후 여러분제 발생, 연료누출도 발생. 임무 포기, 페레그린은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도전한 미국 최초 달 착륙선이자 항공우주국(NASA)이 진행하는 상업용 달 착륙선 서비스(CLPS) 프로그램의 첫 임무를 맡은 우주선이었다.
2024.01.19 지구대기권에서 소멸2024.01.19: (일본) 달탐사선 슬림 착륙. (발사는 2023년 9월 6일 발사, KPLO와 비슷한 궤도로 항행) 뒤집어 졌으나 자료 전송은 하고 있고, 몇번의 낮과 밤을 지내도 낮에는 다시 살아나고 있음 (2024.05.05 현재).
2024.02.15: (미국) IM-1 발사. 인튜이티브 머신(Intuitive Machines) 오전 06시 05분
2024.02.22. 말라퍼트A 착륙, 넘어져 있음. 이 착륙선은 25년 발사예정인 경희대-천문연 개발 루쎔(LUSEM)이 실리는 착륙선으로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음. CLPS2024.05.03 : (중국) 오후 5시27분 계획대로 하이난성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달 이면(뒷면) 착륙 및 암석 채취선인 창어 6호를 성공적으로 발사.
창어 6호는 무인 우주선으로, 달 뒷면에 착륙해 광석과 토양 등 샘플을 채취해서 53일 뒤에 귀환할 예정. 달 뒷면의 샘플을 갖고 돌아온다면 달 뒷면 Sample Returen mission 으로는 세계 최초다.
- 2024.06.01 달 뒷면 착륙, 과학임무용 몇개의 탑재체와 작은 로버가 짧은 시간 운행할 것으로 예상. 아직 세부적인 타임라인은 공개되지 않음.
-2026년엔 달 남극 자원을 탐사할 창어 7호를, 2028년엔 달 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조사를 담당할 창어 8호를 발사한다. 이어 2030년까지 달 유인 착륙을 시도할 계획
-2030년대엔 달 기지 구축 계획 (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달연구기지(ILRS) 프로그램)
2025.01 :1월 15일 06:11 (UTC) (미국) Firefly Aerospace Blue Ghost,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블루 고스트(Blue Ghost) -CLPS
- 3월2일 달 앞면 북쪽 위난의 바다(Mare Crisium)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이다.2025 01 (일본-3번째 착륙선, i-space, JAXA, i-space) :일본 아이스페이스의 레질리언스
2025.02.27: (미국-CLPS 4번째 ) 인튜이티브 머신(Intuitive Machines) 2번째 발사. (예정 운영기간 10일)
‘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’(CLPS)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출발한 네번째 달 탐사선
오전 9시17분 (KST) (미국) IM-2, NOVA-C (아테나) 발사 (Falcon-9), 아테나는 약 8일간 비행한 뒤 오는 3월6일께 달 남극 분화구 인근의 고원 '몽 무통'(Mons Mouton) 지역에 착륙예정. 이 지역은 물이 얼음의 형태로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. 달 표면을 최대 1m 깊이까지 시추할 수 있는 채굴 장비와, 남극의 분화구 내부를 탐사할 수 있는 로봇을 통해 얼음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내용
==> 아테나 탐사선 말고도 3개의 다른 우주선이 실려 있다. 그 중 하나인 루나 트레일 블레이저(Lunar Trailblazer)는 달 궤도를 돌며 달의 물 분포 지도를 작성한다. 루나 트레일블레이저는 4개월 후에 달 궤도에 당도한다.
또 다른 우주선 오딘은 소행성 채굴 회사인 애트로포지가 제작한 것으로, 지구에서 500만~600만㎞ 떨어진 소행성 ‘2022 OB5′이 채굴 가치가 있는 천체인지 살펴본다. 마지막으로 ‘키메라 지오 원’(CHIMERA GEO 1)은 에픽 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우주선으로, 소형 위성을 심우주까지 보낼 수 있는 기술을 시험
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with Korean
